역사관

우리의 미래 철강이 만들어 갑니다.

한국 철강산업 발전사

한국 철강산업의 발전단계 구분과 관련하여 업계 및 학계의 일치된 견해는 없으나, 대체적으로 제품 수명주기 등 사이클 이론에 기반하여 기술되고 있습니다. 한국철강협회에서는 철강산업의 발전단계를 사이클 이론에 기반하여 ‘도입기-도약기-성장기-성숙기’ 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철강수급, 경쟁구조, 기술변화 측면에서 종합하였습니다.

개 요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기계 등 타 산업과의 연관효과가 그 어느 산업보다 크고, 관련 산업의 경쟁력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등 경제적 파급효과 또한 지대하다는 점에서 산업의 쌀이라 불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경제발전을 이루려는 모든 국가들이 가장 먼저 발전시키려 했던 산업이나, 대부분의 개발도상국들이 그 뜻을 이루지 못했는데 이는 철강산업이 갖는 그 고유의 경제적, 기술적 특성에 기인한다고 하겠습니다.
철강산업의 경제적 특성을 살펴보면 철강산업은 국내산업 중 산업 연쇄효과가 가장 큰 산업입니다. 대규모 장치산업으로서 생산규모가 커지면 고정비 분산효과, 생산 효율성 제고 등으로 생산원가가 하락하는 특성을 갖습니다. 또한 철강제품은 중량물로서 물류비용이 생산원가의 약 10% 내외를 차지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인프라 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업입니다.

기술적 특성을 살펴보면, 철강산업은 연속공정산업으로 다른 산업에 비해서 자동화기술이 공정 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자 다량의 오염물질 배출 산업으로 에너지 절감기술과 환경오염 방지기술 등 핵심 공정기술의 확보가 산업 경쟁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국가적으로 철강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는 물론 경쟁력 있는 최신 기술의 적기 도입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 철강산업의 발전은 속도, 규모, 내용 등 종합적인 측면에서 세계 철강산업 역사상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놀라운 사건으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불과 수십 년 만인 2020년 현재 세계 철강생산 6위, 철강소비 5위, 수출 3위로 세계 철강산업을 선도하는 주도국의 반열에 올랐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인당 철강소비는 1,130kg으로 세계 1위를 기록, 독일(500kg), 일본(493kg) 등 경쟁국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자동차, 조선 등 철강소비산업의 수출경쟁력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철강산업과 철강수요산업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철강산업의 발전은 2차례의 오일쇼크,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심화, IMF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등 수 많은 대내외적 위기를 극복하면서 이룬 역사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 철강산업은 국내는 물론 전세계적인 철강수요의 둔화, 이에 따른 과잉설비 심화 우려와 보호무역주의 확대,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규제의 강화 등 대내외적 위기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에 우리 철강산업이 위기를 기회로 바꾸어 왔던 과거의 발전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위기를 재도약의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는 지혜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우리 철강산업의 발전단계를 시기별로 구분해 보면, 도입단계는 1945년 일제치하에서 벗어나 국내 자본이 본격적으로 철강산업에 진입한 이후부터 1973년 포항제철소가 본격 가동되기 직전까지의 단계입니다. 도약기는 철강공업육성법을 중심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포항제철소 1기 설비가 준공된 이후 1986년 철강공업육성법이 폐지되고 공업발전법으로 전환된 시기까지의 기간입니다. 우리 철강산업의 성장기는 1986년부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시점까지로 우리 철강수급이 안정적인 성장을 보인 시기이며, 마지막으로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된 2009년 이후 현재까지는 우리 철강수급이 전반적으로 정체를 보이는 시기로 4차 산업혁명 가속화, 환경규제 강화,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다양한 도전과 기회가 공존하는 시기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